Adore__

[인공지능을 위한 선형대수] 2.2 Normal Equation 본문

Basis/Linear Algebra

[인공지능을 위한 선형대수] 2.2 Normal Equation

3_GreenHeart 2023. 4. 28. 14:37
728x90

Source : [BoostCourse '인공지능을 위한 선형대수' - 주재걸 교수님]

 


정규방정식, 즉 근사해를 구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뉠 수 있다.

 

 

1. (A transpose * A)가 가역행렬일 경우

앞서 Least square에서 x^를 찾기 위해 출발했던 식은 아래 그램의 x^이었다.

이 x^를 minimize 하는 식을 구하면 결국에 Normal Equation 인 A transpose *(b-Ax) = 0와 같다.

 

악 초점

 

오른쪽처럼 정규방정식을 선형방정식으로 생각할 수 있다.

 

따라서 A가 가역행렬일 경우, 위의 마지막 식처럼 근사해 x를 구할 수 있다.

 

 

 

 

2. (A transpose * A)가 가역행렬이 아닐 경우

역행렬이 없다는 것은 해가 무수히 많거나, 없는 경우 두 가지 중 하나이다.

하지만 보통 정규 방정식에서는 '해가 없는 경우'는 존재하지 않는다. 따라서 역행렬이 없을 때는 해가 무수히 많은 경우이다.

 

 

언제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가?

A의 열벡터들이 선형 독립이면 역행렬이 존재하지만, 선형 종속이면 A transpose  * A의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다.

 

 

 

위 그림에서 평면의 수선의 발인 b^은 한 점밖에 없을 것이다.

x^는 원점에서 점 b^까지 잇는 평행사변형을 만드는 A 벡터들의 길이를 조절하는 상관계수이다.

이 x^가 하나밖에 없을 때는 A 열벡터가 선형 독립이고 (한가지 방법으로만 평행사변형 만들 수 있음)

x^가 여러가지 존재할 때는 A 열벡터가 선형 종속이다 (다양한 방법으로 평행사변형 만들 수 있음)  == AtA가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다.

 

 

하지만! A(t)*A가 가역행렬인 아닌 경우(A의 열벡터가 선형 종속인 경우)는 극히 드물다.

사람들의 키와 몸무게를 조사한다고 할 때, 우리가 수집한 사람의 수(방정식개수)가 변수의 개수 (키, 몸무게)보다 많을 때

dimension이 깊어질수록 앞 벡터와 뒤 벡터의 상수배 관계를 유지하기가 더 어려워지기때문이다.

 

 

상수배 하나라도 벗어나면 선형독립이 되어버림

 

Comments